전체 글 (138) 썸네일형 리스트형 친구가 없는 초등학생 아이, 어떻게 하면 좋을 까요 ?? 아이의 친구 관계는 아이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아이가 친구들과 원만하게 교류하는 모습을 보이면 문제없겠지만 혼자 따로 떨어져 있거나 친구들과 좀처럼 관계를 맺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면 부모님의 걱정은 이만저만하지 않을 것입니다. 1. 초등학교 저학년, 기분에 따라 친구 관계가 자주 바뀌는 시기 세상에 처음 나온 아이들은 먼저 엄마와 관계를 형성합니다. 돌이 지나면서 아빠와의 관계도 형성하지만 아직까지 친구에 대한 개념은 없습니다. 3~4세가 되면 친구란 존재는 단지 옆에 있는 아이 정도로 인식할 뿐 친구에 대한 개념은 형성이 되지 않습니다. 5~6세가 되면 그제야 자신을 재미있게 해주는 아이이자 친구라는 개념이 잡히기 시작하며 같이 놀이를 하며 어울리기 시작합니다. 아이가 초등학교 저학년이.. 스마트폰 컴퓨터로 하루종일 게임만 하는 아이, 괜찮을까요?? 요즘 아이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을 자유롭게 이용하는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에 책을 읽는 등의 행위는 기피하기 마련입니다. 오히려 일반 성인들 보다도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를 능수능란하게 다루는 어린이도 있습니다. 이와 같이 요즘 아이들은 밖에서 뛰어노는 것보다는 집에서 스마트폰, 컴퓨터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며 노는 경우가 더욱 많은데요. 집에서 하루 종일 게임만 하는 아이들, 그냥 놔두어도 괜찮은 것일까요?? 1. 컴퓨터 게임의 부정적인 측면 스마트폰, 컴퓨터를 이용하여 과거와는 다르게 다양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습득을 할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측면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어린 시절부터 스마트폰, 컴퓨터 게임에 너무 몰입하게 되면 다수의 부정적인 측면이 발생하게 됩니다. 첫째, 아.. 초등학교 아이의 담임선생님과의 올바른 대화 방법 !! 초등학교 아이에게 담임선생님은 부모님 못지않게 큰 영향을 미치는 존재입니다. 그러므로 부모님들은 아이가 초등학교를 다니고 있다면 담임선생님은 만나보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하지만 간혹, 선생님과의 만남 자체를 부담스러워하여 만남을 피하는 부모님들이 있는데 이러한 부담은 떨쳐내고 아이를 담당하고 있는 담임선생님과 대화를 나누는 시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1. 담임 선생님과의 상호적인 대화 초등학교 자녀의 담임선생님과의 만남 및 대화를 부담스러워하는 부모님들을 보면 대게 어린 시절 선생님의 안 좋거나 무서웠던 기억을 가진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부모님들은 선생님과의 만남을 가지고 대화를 나누어도 선생님 말을 듣기만 하는 수동적인 자세로 대화를 임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부모님과 담임선생님과의 대화.. 이전 1 ··· 3 4 5 6 7 8 9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