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정보

만 3세~5세 아이들의 언어 표현력 및 발달 관련 정보

반응형

<만 3세~5세 아이들의 언어 표현력>

만 3세 이후가 되면 아이의 언어 이해력은 일상생활에서 어른들이 하는 이야기들을 거의 다 이해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발달하게 됩니다.

엄마나 아빠가 하는 이야기를 며칠이 지난후에 기억해 내어 부모님들을 놀라게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언어 이해력은 빠른 속도로 향상이 될 수 있지만 언어 표현력은 아이들마다 발달의 편차가 심하게 나타납니다.

발음이 잘 되지 않는 아이도 있고 단어로는 말을 잘 하지만 문장으로는 말을 잘 못하는 아이도 있습니다.

첫 단어를 말할 때 더듬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또 문장으로 말을 하지만 발음이 정확하지 않아서 알아듣기 힘든 경우도 있습니다.

 

언어표현력은 입술 주변 운동성의 어려움으로 인해 늦어집니다.

아이가 말을 유창하게 할 수 있으려면 숨을 쉬는 기관과 음식을 삼키는 기관의 운동성이 서로 잘 조정되어야 합니다.

즉, 입술 주변의 작은 근육들이 움직여져야 하고 혀라는 커다란 근육덩어리도 움직여져야 합니다.

동시에 침을 삼켜야 하므로 혀는 발음을 돕는 일과 침을 삼키는 일을 동시에 해야 하는데 아이에게 침을 삼켜가면서 말을 하는 일은 생각처럼 그렇게 단순한 동작이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말하기와 숨쉬기, 침 삼키기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말을 잘 한다는 것은 아이의 인지능력 보다는 운동성에 의해 영향을 더 받게 됩니다.

유아기의 지능은 언어이해력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언어이해력이 정상범위에 속한다면 말하기가 늦어진다 하더라도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닙니다.

말이 늦는 아이들은 상대방이 자신의 말을 못 알아듣는다는 사실을 깨닫고 스스로 발음을 연습할 수 있습니다.

최소한 48개월 정도까지는 말이 늦는 아이에게 운동성이 발달하고 스스로 발음을 연습할 수 있도록 시간을 줘도 좋습니다.

만약 생후 48개월 이후에도 문장으로 말을 하기가 힘들고 발음에 지연이 심해서 알아듣기 힘들며 아이가 심리적으로 위축 된다면 언어치료를 통해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48개월 이전이라 하더라도 발음지연이 너무 심해서 아이가 심리적으로 위축 된다면 입술 주변의 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언어치료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

 

간혹 아이들 중에 자신이 완전한 문장으로 말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 입을 다물어 버린채 한 마디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은 머리 회전이 빠르고 자존심이 강한 기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말을 시켜도 절대로 하지 않습니다.

이런 아이의 경우, 언어치료를 해주면 아이가 심리적으로 거부감을 갖기도 합니다.

대부분 얼굴 표정이나 손짓, 몸짓으로 의사표현을 적극적으로 하기 때문에 말하기를 강요하기 보다는 기다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한번 말이 트이면 물 흐르듯 말을 하게 될 것 입니다.

 

반응형